기사 메일전송
[김을호의 명강사 클래스] 명강사로 성장하기 위한 멘토링과 네트워킹
  • 기사등록 2025-02-11 16:08:48
  • 기사수정 2025-02-14 18:30:00
기사수정

Image by Gerd Altmann from Pixabay 

[대한민국명강사신문 김을호 기자]


명강사는 단순히 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강연을 통해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리더다. 하지만 명강사가 되는 길은 쉽지 않다. 자신만의 강연 스타일을 개발하고, 강연 주제를 심화하며, 강연자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실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멘토링과 네트워킹은 명강사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멘토링과 네트워킹은 왜 중요한가? 그리고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멘토링은 이미 성공적인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부터 조언과 지도를 받는 과정이다. 강연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강연 준비 과정, 청중과의 소통, 콘텐츠 구성 등에서 시행착오를 겪기 마련이다. 경험이 풍부한 멘토는 이러한 과정에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실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멘토는 강연자의 스타일이나 메시지 전달 방식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강점은 더욱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렇다면 좋은 멘토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강연자 모임이나 워크숍에 참석하면 경험 많은 강연자를 만날 기회가 생긴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관심 분야의 멘토를 찾거나, 기존 네트워크를 통해 멘토를 소개받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하지만 멘토링은 단순히 조언을 듣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멘토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조언을 실천에 옮길 때 비로소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난다.


강연자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이름과 강연을 알리는 것이 필수적이다. 네트워킹은 이러한 기회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다. 강연 요청이 들어오는 경로를 다양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연결점을 만드는 것은 명강사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전략이다.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과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면 강연 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배움의 기회도 얻게 된다.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는 관련 행사나 워크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료 강연자들과 교류하며 최신 강연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강연 주제나 접근 방식을 배우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강연 후 청중과 소통하며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효과적이다.


네트워킹은 단순히 인맥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며, 강연 소식을 공유하거나 강연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은 실천들이 쌓이면 더 많은 강연 기회와 협력의 문이 열린다.


멘토링과 네트워킹은 독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멘토의 도움을 받아 준비한 강연이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의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네트워킹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로부터 새로운 멘토링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강연자는 혼자서 모든 것을 이룰 수 없다. 멘토의 지혜를 배우고, 동료 강연자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워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명강사로 성장하는 길은 단순한 개인 역량의 문제가 아니다. 멘토링과 네트워킹을 통해 전문성과 영향력을 확대하고, 더 많은 청중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강연자로서 더 큰 무대에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면, 지금 이 순간부터 멘토링과 네트워킹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

대한민국명강사신문 김을호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2-11 16:08:48
포토뉴스더보기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제3기 백두산부대 독서경영대학 7월 9일 개강 소식
  •  기사 이미지 연천군, ‘제8기 열쇠부대 독서경영대학’ 개강 소식
  •  기사 이미지 제3회 한국독서경영학회 독서경영비전포럼 박상미 교수 "마음 근육 튼튼한 내가 되는 법"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